분류 전체보기 2102

사도 바울의 동료인 사도 빌립이 순교한 히에라폴리스

히에라폴리스(Hierapolis)는 현재 터키의 파묵칼레(Pamukkale) 지역에 위치한 고대 도시로, 초기 기독교 역사에서 중요한 장소입니다. 이곳은 사도 빌립이 순교한 장소로 알려져 있으며, 그의 순교를 기념하기 위해 특별한 건축물들이 세워졌었다고 합니다. 사도 바울과 관련된 직접적인 기록은 없지만그가 선교활동을 펼치던 소아시아지역의 도시들과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이곳 히에라폴리스에서도그의 발자국이나 숨결을 느낄 수 있는 곳으로 추정을 하고 있습니다.사도 빌립의 순교: 사도 빌립은 히에라폴리스에서 복음을 전하다가 로마 황제 도미티아누스의 박해로 인해 십자가형을 당하고 순교했다고 전해집니다. 그의 순교 이후, 이곳은 기독교인들에게 중요한 성지가 되었습니다. 빌립 기념교회: 5세기경, 기독교가 로마 제국..

이스탄불의 매력적인 도시 : 역사와 종교 문화적 배경

이스탄불은 터키 최대 도시로,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보스포루스 해협을 중심으로 위치해 있습니다. 이 도시는 약 1,600만 명의 인구를 자랑하며, 동서양 문명이 만나는 역사적, 문화적 중심지로 알려져 있습니다.이스탄불의 도시 현황 경제와 인프라: 이스탄불은 터키의 경제적 중심지로, 금융, 무역, 관광 산업이 활발합니다. 하지만 급격한 도시화로 인해 교통 체증, 주택난, 환경 오염 등의 대도시로 인한 문제가 대두되고 있습니다. 문화와 관광: 이스탄불은 아야 소피아, 블루 모스크, 톱카프 궁전 등 세계적으로 유명한 유적지와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지역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환경 문제: 도시 확장과 인구 증가로 인해 공기 오염, 수질 오염, 녹지 감소 등의 환경 문제가..

파묵칼레의 고대도시 히에라폴리스는 왜 무너졌나?

터키 파묵칼레의 고대도시히에라폴리스는 기원전 2세기에 건설되어 로마와 비잔틴 시대에 번영을 누렸지만,1354년의 대지진으로 인해 도시 전체가 폐허가 되었습니다. 이 지진으로 인해 많은 건축물이 파괴되었고, 생존자들은 도시를 떠나게 되면서 히에라폴리스는 점차 흙 속에 묻히게 되었죠.최근 2023년 터키를 강타한 7.8의 강진으로 터키의 여러 도시가 파괴되었습니다. 적어도 발생 초기에 5만명이 사망하고 그 피해는 감당하기 어려웠는데, 한국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지원 노력과터키 정부의 노력으로부분적인 복구를 해오고 있습니다. 그 옛날 도시 복구의 예산이 없을 당시에는차라리 도시를 버리고 새로 건설하거나다른 도시로 이주하는게 현명한 방법이었을 것이기에히에라폴리스는 세월과 함께 폐허가 되는 것은 당연했겠지요.우리는..

성지 순례 어디로 갈까? -- 그리스, 터키 방면 --이스라엘 방면

그리스, 터키, 이스라엘 성지 순례는 각각 독특한 역사적, 종교적, 문화적 의미를 지니고 있어 선택에 따라 다른 경험을 제공합니다. 아래에 각 지역의 주요 특징과 참고할 만한 내용을정리해 보았습니다.1. 그리스와 터키 성지 순례주요 방문지:그리스:아테네의 아크로폴리스, 고린도 운하,메테오라 수도원, 사도 바울의 전도지(고린도, 빌립보 등). 터키: 에페소(사도 요한의 무덤과 성모 마리아의 집),카파도키아(지하 도시와 동굴 교회),파묵칼레(히에라폴리스 유적),소아시아 일곱 교회(요한계시록에 언급된 교회들). 특징:초기 기독교의 전파와 관련된 장소들이 많아사도 바울의 여정을 따라가며신앙의 뿌리를 탐구할 수 있습니다. 터키는 동서양의 문화가 융합된독특한 매력을 지니며,자연 경관과 고대 유적이조화를 이룹니다. ..

지하도시로 유명한 튀르키예의 데린쿠유, 로마의 카타콤베

세계 여러 곳에 존재하는 유명한 지하 도시들은단순한 거주 공간을 넘어선 역사와 문화의 보고입니다.이러한 지하 도시들이 형성된 배경에는다양한 이유가 있지만,주로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작용했습니다. 1. 종교 박해 및 전쟁:로마의 카타콤베:초기 기독교인들이로마 제국의 박해를 피해 비밀리에 예배를 드리고매장 공간으로 사용했던 지하 묘지입니다.미로처럼 얽힌 터널과 방들로 이루어져 있으며,초기 기독교 예술의 중요한 유적지입니다.카타콤베는 단순히 매장 공간을 넘어,박해를 피해 신앙을 지키려 했던초기 기독교인들의용기와 신념을 보여주는 상징입니다. 터키 카파도키아 데린쿠유:비잔틴 시대기독교인들이 로마 제국의 종교 박해를 피해건설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최대 2만 명까지 수용 가능하며,학교, 예배당, 심지어 감옥까지 ..

고린도 운하 : 역사의 숨결이 느껴지는 뱃길

항해 거리 단축을 위한 노력의 결실 고린도 운하는그리스 본토와 펠로폰네소스 반도를 잇는좁은 지협을 가로지르는 인공 수로입니다.이 운하는 에게 해의 사로니코스 만과이오니아 해의 코린토스 만을 연결하며,펠로폰네소스 반도를 돌아가는기존 항로를 크게 단축시켜 줍니다.거리 단축 및 이점고린도 운하를 이용하면펠로폰네소스 반도를 돌아가는 것보다약 700km의 거리를 단축할 수 있습니다.이는 항해 시간과 연료 소비를 크게 줄여주어물류 비용 절감에 기여합니다. 하지만 운하의 폭이 좁아대형 선박의 통행이 어렵기 때문에주로 관광용 소형 선박들이 이용하고 있다고 해서 기다려 보았지만오늘따라 통과하는 관광선이 없어서 아쉬웠습니다.운영 현황고린도 운하는 연중무휴로 운영되며,매일 수십 척의 선박이 통과합니다.운하 주변에는 아름다운..

갑바도 기아의 교회들과 데린쿠유 지하 교회

26일 (수요일) - 2일째..갑바도기아 — 여기서는 기암절벽들을 많이 봅니다. 지금 우리는 핍박이 없어서 멋있다고 생각하지만, 옛날 우리 믿음의 선조들은 핍박을 피하여 이런 황량한 곳으로 도망 와서 굴을 파고 살았습니다. 성경에 나오는 갑바도기아 —베드로전서‬ ‭1‬:‭1‬ ‭ — 예수 그리스도의 사도인 베드로가, 본도와 갈라디아와 갑바도기아와 아시아와 비두니아에 흩어져서 사는 나그네들인, 택하심을 입은 이들에게 이 편지를 씁니다.사도행전‬ ‭2‬:‭9‬ ‭ — 우리는 바대 사람과 메대 사람과 엘람 사람이고, 메소포타미아와 유대와 갑바도기아와 본도와 아시아와…‭‭히브리서‬ ‭11‬:‭37‬-‭38‬ ‭— 또 그들은 돌로 맞기도 하고, 톱질을 당하기도 하고, 칼에 맞아 죽기도 하였습니다. 그들은 궁핍을..

사도 바울의 1차,2차,3차 전도 여행 요약 정리

1. 제1차 선교 여행바울의 제1차 이방 선교 여행은 A.D. 47년경에 시작되어 약 2년이 소요되었으며 주로 소아시아의 동남부에서 진행되었다. 이러한 제1차 전도 여행은 복음이 팔레스틴이라는 지역적 한계를 벗어나 본격적으로 이방 세계로 전파되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한편 제1차 선교 여행의 결과 이방인의 할례 문제가 대두되어 예루살렘 공의회가 개최되었는데, 이를 계기로 모든 사람은 믿음으로만 의롭게 된다는 기독교의 핵심 진리가 확립되기에 이른다.• 여행기간 : A.D. 47-49년(약 2년) • 여행거리 : 약 2,240km • 동 역 자 : 바나바, 마가 요한 • 관련본문 : 행 13:1-14:28 • 여행경로 : 수리아 안디옥 → 실루기아 → 살..

■ 바울의 3차 전도 여행(행18;23-21;14)

■ 바울의 3차 전도 여행 (행 18;23-21;14) 1. 바울의 3차전도 여행의 시작바울의 3차전도 여행은 2차 전도여행의 연속이었다. 2차 여행 때 금지 되었던 소아시아 지역에 들어가 전도를 했으며 특히 에베소에 3년이나 머물며 그 지역 전도에 전력을 집중시켰다. 바울은 일찍부터 대도시의 중요성을 생각하고 전도를 전개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다가 이제 숙원인 교회를 세우는 일에 동역자들과 힘을 합하여 오래 기간 동안 머물며 전도했다.바울이 한 곳에 오래 머물며 전도하는 일은 드문 일이었다. 그 기간 동안 인근의 여러 곳에 전도하여 교회를 세웠는지는 알 수 없다 가까운 인근인 골로새와 라오디게아와 히에라볼리에는 에바브라를 통하여 복음을 전했다. (골 4;12-13) 다른 도시에도 바울은 동역자들을 보내..

바울의 제2차 전도여행: (행 15:36-18:22)

■ 바울의 제2차 전도여행: (행 15:36-18:22) 1. 바울의 2차전도 여행의 시작바울의 2차 전도여행은 사도행전 15장 끝부분에서 시작되었다. 애석하게도 2차 전도여행은 바나바와 헤어졌다. 그 이유는 마가 요한 때문에 의견 충돌이 있었기 때문이다. (행15;37-38) 바나바는 마가를 데리고 구브로로 갔고, 바울은실라를 데리고 형제들의 주의 은혜에 부탁함을 받고 떠나, 시리아와 길리기아로 다녀가며, 교회들을 굳게 했다. (행15;40-41) 바울은; 실라와 함께 유럽에 들어가게 되었으며, 루스드라에서 바울은 자신의 전도 여행을 돕도록 디모데를 데리고 떠났다. 루스드라는; 바울이 1차전도 여행 때 돌에 맞았던 곳이다. 2. 바울의 2차전도 여행의 지역: 수리아 → 길리기아 → 더베 → ..